깃과 깃허브... 공부 시작...!!
- Git
Git은 내 로컬저장소에 있는 것을 깃을 지원하는 툴을 통해서 add, commit, push를 통해서
변경된 파일을 원격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게 해 준다.
- Git 설정하기
cmd 또는 Git Bash환경에서
● 이름등록 :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이름"
▶ 이름은 깃에 등록한 프로필이름
● 메일등록 :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
● 설정확인 : git config --global --list
▶ 다 등록했다면 설정확인 해보자.
- 터미널 주요 명령어
- ls : 현재 위치한 폴더에 있는 디렉터리, 파일들을 표시해 준다.
-
ls 명령어 - pwd : 현재 위치한 전체경로를 표시해 준다.
pwd 명령어 / 현재 documents 폴더에 있는 모습 - cd :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
- cd 폴더명 : 디렉터리로 이동, 디렉터리 내에 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터리가 있어야 한다.
- cd .. : 이전 디렉터리로 이동
- cd ~ : 맨 처음 디렉터리로 이동
cd 명령어. / 마지막엔 pwd로 가장 처음 폴더로 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. - mkdir 폴더명 : 디렉터리 생성 / make directory의 약자
mkdir로 블로그 폴더를 만들었다.
-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 연결
원하는 경로에 폴더를 하나 생성한다.
그리고 git bash에서 원격저장소와 연결하고 싶은 폴더로 이동한다.
- 원격저장소 설정 명령어
● git init : 빈 Git 저장소를 생성하거나 기존 저장소를 초기화
● git remote : 원격저장소 관리 명령어
▶ git init으로 .git파일을 생성
●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프로필명/레포지토리명.git
● git remote -v :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.
git remote add를 통해서 원격저장소와 연결.
git remote -v를 통해서 연결된 저장소까지 확인해주었다.
- 원격저장소에 파일 올리기
맨 처음에 add, commit, push를 얘기했다.
● git add : 스테이징 영역에 올린다.
▶ git add . : ( . ) 띄어쓰기 + . 을 통해서 루트폴더 내 모든 파일을 add한다.
▶ git add a.txt : 파일을 개별적으로 add할 수 있다. (a.txt : 파일)
● git commit : 로컬 레포지토리에 커밋
▶ git commit -m "커밋메세지"
● git push : 커밋한 것이 레포지토리로 저장된다.
▶ git push origin main
커밋으로 작성한 "blog"와 파일이 잘 저장되었다~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