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 : 태양광 자원과 발전시설 현황 지도 시각화
팀명 : 햇살연구소
팀원 : 4명
프로젝트기간 : 24. 12. 20 ~ 25. 01. 08
1. 프로젝트 목적
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해서 팀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.
우리의 첫 팀프로젝트는 태양광 자원인 일사량을 지도에 표시하고,
태양광 발전시설 정보를 지도에 표시해서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.
그렇게 태양광발전시설이 일사량에 비해서 미비한 곳을 찾아서
발전시설을 신설할만한 지역 우선순위를 정해보기 위해
지도제작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습니다.
2. 진행과정 및 나의 역할
▷ 커뮤니케이션
- 매일 간단하게 회의를 진행하여 서로 진행과정을 공유
- 구글 공유문서, 노션을 활용하여 정보와 진행상황 공유
▷ 나의 역할
- 팀원들이 제작한 프로그램 통합
- 지도에 시/도 경계 시각화하기
- 태양광 발전시설 정보 단계구분도로 지도에 표시
- 지역별 태양광 발전량, 전력 사용량, 면적대비 태양광설비용량 popup graph (서브)
- 컬러바, 체크리스트 지도 화면구성
3. 첫 프로젝트를 진행하며
파이썬을 배우고 처음 진행해본 프로젝트였기에, 시작했을 땐 무엇을 해야하는지 전혀 감도 오지 않았습니다.
하지만 팀원들과 회의를 거듭하고, 차근차근 프로젝트를 진행하자 결국 처음 목표했던 것들을 다 끝낼 수 있었습니다.
파이썬 수업 때 배웠던 내용들을 복습하고, 모르는 내용이나 구현하고 싶은 기능들은 직접 찾아가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.
▷ 다양한 라이브러리, 패키지 사용
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수업 때 배웠던 folium, matplotlib 등을 사용하기도 했지만, 배우지 않았던 다른 적합한 라이브러리와 패키지를 찾아보며 적용했습니다.
직접 검색해서 찾아보며, 더욱 깊게 공부해볼수 있어서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.
▷ 협업과 팀워크
첫 시작은 구글공유문서로 조사한 자료나 넣었으면 하는 정보를 취합했고, 회의를 하며 정한 주차별 진행목표까지 여기에 저장했습니다.
후에 노션을 만들서 서로의 진행과정을 공유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.
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협업툴로 노션을 처음 사용해볼 수 있어서 좋았지만,
아직 노션이 익숙하지 않아 잘 활용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처음부터 협업툴을 노션 하나로 진행했다면 더 좋았을 것 같고, 노션으로 협업툴을 바꿨을 때, 구글문서에 적었던 정보를 옮겨서 한번에 볼 수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
팀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 많이 걱정하는것 중 하나는 다른 팀원과 소통일 것입니다.
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역시 팀원들과 잘 소통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것을 느꼈습니다.
소통에 관해서는 문제점을 느낀적이 없어서, 편안하게 내가 할 일만 잘 하면 됐던 것 같아서 재미있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.
▷ 개선할 점
- 일사량 데이터
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사량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데이터가 아닙니다.
그 이유는 API에 요청해서 받은 데이터에 생각보다 결측값이 많아서 우리가 생각했던 것 보다
지도에 고르게 정보를 입력시킬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.
그래서 일사량 데이터는 가장 일사량이 많은 8월 중 전 지역에서 결측값이 없는,
2020년 8월 데이터를 가지고 지도에 표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.
이후엔 결측값이 없는 데이터를 달마다 요청받아 csv에 추가하여 월 별 일사량 정보를 표시하는 쪽으로 발전시키고 싶습니다.
- 온도, 구름 등 태양광 발전량 변수 추가
태양광발전은 시간, 기후, 기상환경에 따라 변동성이 있습니다.
이 변동성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위해 추후 일사량정보, 온도,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일사량을 예측하는것을 추가하고,
생산된 전력을 생산된만큼 사용해야하는데, 송전망의 용량도 한계가 있기에 송전망 용량도 추가하여,
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태양광발전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고 싶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