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ython

[Python] 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in연산자

by ybin.im 2024. 11. 24.
연산자

 파이썬에서는 산술연산자( +, -, *, /, %, //, ** )를 통해서 숫자, 문자열에 대한 연산을 할 수 있다.

만약 문자역을 연산한다면 다음과 같다.

문자열이 합쳐져 "Hello World"가 되었다.

 

 

다음으로는 데이터를 할당하는 복합대입연산자이다.

num += 2        # num = num + 2

num -= 2         # num = num - 2

num *= 2         # num = num * 2

num /= 2          # num = num / 2

num //= 2         # num = num // 2 (몫 구하기)

num %= 2         # num = num % 2 (나머지 구하기)

num **= 2         # num = num ** 2 (거듭 제곱)

 

 풀어쓴 식에서 오른쪽의 연산을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을 수행하게된다.

 

 num에 기존에 할당했던 값 대신 연산된 값이 num에 할당된 것을 볼 수 있다.

 

비교연산자

 

 비교연산자는 값이 True와 False로 반환된다.

num1 < num2 , num1 > num 2      :       크다, 작다
num1 == num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       둘의 값이 같다.
num1 <= num2, num1 >= num2    :       크거나 같다, 작거나 같다
num1 != num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       다르다

 

값이 True 와 False로 반환되는걸 볼 수 있다.

 

논리연산자

 

논리연산자는 and, or, not이 있다.

논리연산자 또한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별하는 연산자이다.

A and B    :     A와 B 둘 다 참이다.
A or B       :     A 또는 B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, 둘 다 거짓이면 False이다.
not A         :     A가 True였다면, False로 반전시킨다. 

5번 라인에서, a는 True이나 b는 False이기에 False

6번 라인에서는 a, b 둘 중 하나만 참이면 되기에 True

7번 라인에서. a는 원래 True이니 False로 반전된다.

 

in 연산자

 

in연산자는 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셋, 딕셔너리에서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.

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True, False로 값을 반환한다.

값 in A         :   값이 A내에 존재하는지 확인
값 not in A   :   값이 A내에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

 위에선 문자열 내에 해당 단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해봤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