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자열 내에 원하는 값을 넣거나, 원하는 형식을 맞추기 위해서 문자열 포매팅을 사용한다.
-----
문자열 포매팅
1. 포맷코드( 문자열 % )
▶ 사용법
%d : 정수
%f : 실수
%s : 문자열
%c : 문자
%숫자 : 문자열 길이
%.숫자 : 소수점 자리수
1. %d : 정수
2. %.2f : %와 f 사이에 .2를 넣었으므로 소수점 2자리까지 출력하는걸 볼 수 있다.
%f는 일반적으로는 소수점 6자리까지 나온다.
3. %s : 문자열
문자열에서는 공백을 설정할 수 있는데,
%5s를 했다면 문자열공간 5칸을 주고 5칸에서 "000흐림"(0 = 공백) 형식으로 출력되는걸 볼 수 있다.
4. %c : 문자 하나를 출력한다.
-----
2. format() 메서드를 사용한 포매팅
형태 : 식별자 = "문자열" .format()
1. 변수설정
- 변수를 설정해서 .format()에서 사용할 수 있다.
-----
2. .format()사용
- 문자열 안에 { }를 설정한다
- { }안에는 0부터 시작해서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.
- 부여한 순서대로 .format()안에있는 문자열이 { } 위치로 들어간다.
- 따로 순서를 부여하지 않는다면 { }가 쓰인 순서대로 들어간다.
순서대로 값이 들어간다.
- 식별자 = "문자열" 형태로 .format()안에 넣어 대응시킬수도 있다.
- 중괄호를 출력하고 싶을 땐 "{ { } }" 안에 감싸주면 중괄호가 출력된다.
-----
▶ {0:!^11} 이렇게하면 어떤 값이 출력될까
▶ "hey"가 가운데정렬, 양쪽 공백에 :!^에 적힌 !가 채워진 걸 볼 수 있다.
- 형식
{:문자^공백설정} : 가운데정렬
{:문자<공백설정} : 좌측정렬
{:문자>공백설정} : 우측정렬
▶ 공백을 설정했다면, 포매팅으로 설정한 문자열의 길이를 뺀 값만큼 공백으로 설정된다.
f 문자열 포매팅
▶ 문자열 앞에 f를 붙이면 변수로 설정한 값을 문자열 내에 넣을 수 있다.
▶ 파이썬 3.6 버전 이상부터 사용가능한 기능
▶ 문자열 앞에 f를 붙여서 사용
▶ {변수}를 통해서 변수 내에 저장된 값을 불러올 수 있다.
▶ 중괄호 내에서 변수와 (+, -, / *)와 같은 수식 사용 가능
▶ .format()같이 특수기호를 사용해서 실수의 소수점값을 정하거나,
공백설정, 가운데정렬 등과 같은 기능 사용 가능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while문 for문(리스트내포, 딕셔너리, 리스트 , 이중for문) (2) | 2024.12.06 |
---|---|
[Python] if문, elif문, else문, 중첩조건문 (0) | 2024.12.02 |
[Python] 리스트, 이차원리스트 인덱싱, 슬라이싱, 값추가/삭제, 메 (1) | 2024.12.01 |
[Python] 파이썬 자료형 형변환 (1) | 2024.11.25 |
[Python] 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in연산자 (0) | 2024.1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