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형이란?
▶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종류를 의미한다.
▶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처리할 지 정의
-----
파이썬에서 변수의 자료형의 종료
- int(정수) 형 : 소수점이 없는 정수의 값
- float(실수) 형 : 소수점이 있는 실수의 값
- str(문자열) 형 : 문자들을 모은 것. 파이썬에서는 홑따옴표 또는 쌍따옴표로 표기한다.
- bool(불리언) 형 : True값 또는 False값 만 가질 수 있다.
- None(Null) 형 : 값이 없음을 나타낸다. 변수이름은 선언하지만 아직 값을 가지지 않을 때 사용한다.
- list(리스트) 형 : 여러 값을 하나의 변수안에 저장. 순서가 중요하다.
- tuple(튜플) 형 : 리스트와 비슷하나, 생성 후 값을 변경할 수 없이 고정된다.
- dict(딕셔너리) 형 : 변수 안에 변수를 생성하는 것과 같다.
- set(집합형) :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값의 집합. 순서가 없다.
자료형의 형변환
▶ iuput()은 기본적으로 변수를 입력받으면 str형으로 받게된다.
▶ type() 함수로 자료형을 출력해볼 수 있다.
-----
▶ 숫자를 입력해도 str(문자열)자료형으로 나온다.
-----
그래서 input받은 데이터를 다른값으로 변환시키는 형변환이 필요하다.
▶ 다음과 같이 형변환을 할 수 있다.
-----
▶ 이렇게 int(정수) 형으로 바뀌어서 숫자 연산까지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.
-----
▶ int형변환을 풀고 문자를 입력해본다면, a + 1을 하기위해서 입력된 값이 int가 아니라고 오류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.
-----
자동형변환
파이썬에서는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변환시켜주기도 한다.
▶ int를 입력받고, 값을 나누고 실수를 더해보았다.
정수 4를 입력받았지만, 소수점이 붙고 float(실수)형으로 자동형변환된 것을 볼 수 있다.
자동으로 형변환이 될 때도 있지만, 정확하게 직접 명시적인 형변환을 해주는 습관을 들이자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while문 for문(리스트내포, 딕셔너리, 리스트 , 이중for문) (2) | 2024.12.06 |
---|---|
[Python] if문, elif문, else문, 중첩조건문 (0) | 2024.12.02 |
[Python] 리스트, 이차원리스트 인덱싱, 슬라이싱, 값추가/삭제, 메 (1) | 2024.12.01 |
[Python] 문자열 포매팅 (1) | 2024.11.27 |
[Python] 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in연산자 (0) | 2024.11.24 |